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 박수진 교수팀, 질산리튬 보호막으로 폭발 없는 배터리 만든다 [계면활성제 역할 하는 다기능성 박막 제조를 통한 차세대 전지 개발] 세계적인 탄소배출 규제강화 움직임에 따라 전기차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BMW, 폭스바겐, 테슬라, 볼보, GM 등 글로벌 완성차업체들도 연이어 전기차 생산을 높인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배터리 폭발로 인한 화재 사고 등 불안 요소는 여전히 남아 있다. 최근 화학과 박수진 교수, 이정인 박 2021-04-14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연구성과 신소재 손준우 교수팀, 이종구조 전극 연료전지 한계를 극복하다 – 페로브스카이트 주석 산화물 전극의 용출현상 구현 -소재 원천기술 확보…에너지 변환 및 저장 효율 개선 기대 최근 전도성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지지대 위에 금속 나노 입자를 형성하여 촉매 특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이종구조 전극(heterogeneous electrode)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POSTEC 2020-04-29587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 교수팀, 자연 살해 세포의 면역시냅스 형성을 이용한 암 치료법 개발 [암 덩어리, 항암제로 중무장한 자객 세포로 살해한다] 우리 몸에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직접 파괴하는 면역세포, 즉 자연 살해 세포가 존재한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자연 살해 세포의 면역 치료와 화학 요법을 융합하여 효과적으로 암을 치료하는 항암 면역요법을 개발해 관심을 끌고 있다. 화학과 김원종 교수 연구팀은 ㈜지아이셀과 공동연구를 2020-04-28604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당뇨병 진단·치료 위한 무선 구동 스마트 콘택트렌즈 개발 [당뇨병, ‘스스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스마트 콘택트렌즈] 당뇨병은 한번 발병하면 현대 의학으로 어떤 치료를 하더라도 병 자체가 없어지지 않는 특성 때문에 ‘불멸의 질병’이라 불린다. 당뇨병이 발병하면 평생 혈당수치를 측정하며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한다. 그런데 콘택트렌즈를 끼는 것만으로 인슐린의 분비를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떨까? 최근 POSTECH 연구팀 2020-04-28660 연구성과 POSTECH, 코로나19 진단에서 치료까지 과학기술로 극복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세계적 대유행을 겪고 있다. 3월 31일을 기준으로 전 세계 확진자가 76만 명, 사망자만 3만 6천명을 넘어섰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을 극복하기 위한 POSTECH 연구자들의 대응 노력도 한발 앞서 공개되고 있다. ◆ 생명과학과 장승기 교 2020-04-016,438 연구성과 화공 박태호 교수팀, 유기태양전지 치명적 단점 해결할 답 ‘저분자’에서 찾다 – KRICT-POSTECH 공동연구팀, 저분자 유기태양전지의 고질적 상분리 문제 해결 – 저분자 유기태양전지 ‘세계 최고 충전율 달성’…넓은 면적·긴 수명 가능해져 유기태양전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유기물을 이용해서 빛을 전기로 전환하는 태양전지를 의미한다. 하지만 유기태양전지의 본격적인 상용화를 가로막는 치명적인 단점이 바로 2020-04-01852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창의IT 김철홍-이화여대 윤주영 교수팀, 암 ‘빛’으로 진단과 동시에 치료한다 [POSTECH-이화여대 공동연구팀, 초분자 프탈로시아닌 조립체 이용한 광음향 이미징 및 광열 치료법 개발] 이화여대(총장 김혜숙) 공동연구팀이 수술 없이 암세포만 골라 태워 죽이는 ’광음향 영상법‘과 ‘광열(光熱) 치료법’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는 조영제를 개발했다. 화학과 김원종 교수팀, 창의IT융합공학과 김철홍 교수팀, 이화여대 화학과 윤주영 교수팀은 2020-03-31555 연구성과 창의IT 박주홍 교수팀, 코로나 의심‧확진자 셀프 경로지도 프로젝트 운영 [자발적 시민참여‧IT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사회적 문제 해결 모델 제시…성숙한 공동체 의식에 “기대”] 창의IT융합공학과 박주홍 교수팀이 코로나 19 의심자와 확진자가 익명으로 참여하는 셀프 경로지도 프로젝트인 ‘COVID: Share to Survive(코로나 19: 공유를 통한 생존)’를 운영한다. 전세계적으로 진행되는 이 프로젝트(www.sharet 2020-03-30368 연구성과 창의IT 장진아 교수팀, “두근두근” 심장 되살리는 ‘바이오잉크 심장패치’ 개발 심장은 혈액을 순환시키는 원동력이 되는 기관으로, 끊임없이 수축과 이완을 되풀이함으로써 혈액을 온몸에 공급하는 펌프역할을 한다. 심혈관이 막히거나 심장근육의 전체나 일부가 손상되어 심장이 괴사하는 경우, 줄기세포를 이용하는 치료법이 사용되고 있다. 골수에서 채취한 중간엽 줄기세포(BM-MSC)의 임상 사용이 확대됐지만, 이식해도 곧 사멸한다는 것이 문제로 2020-03-26856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막히고 딱딱해진 심장, ‘홍합’에 주목하라 [홍합접착단백질 기반 심근경색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심근경색의 초기 사망률은 30%에 달할 정도로 생명과 직결되는 질병으로 사망환자의 50% 이상은 병원에 내원하기도 전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심근경색은 심장마비에 이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빠르고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한데, 최근 POSTECH 연구팀이 홍합이 가진 강력하면서도 인체에 무 2020-03-24772 연구성과 ‘생명 장승기 교수팀’ 코로나19도, 새로운 전염병도 ‘15분 안에’ 진단한다 – 압타머 이용 바이러스 감염 신속 진단기술 개발 – 코로나19 진단법 개발 시작…치료제 개발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 중국 우한으로부터 시작된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위협하며 세계보건기구(WHO)는 신종플루 이후 11년만에 팬데믹을 선언했다. 이처럼 전염성이 높고 치명적인 새로운 전염병이 발생하면, 바이러스의 감염자를 신속하 2020-03-192,598 First PagePrevious11121314151617181920NextLast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