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공 조길원 교수팀, 손보다 뛰어난 감각을 가진 ‘전자 피부’ [POSTECH∙울산대 연구팀, 인간 손가락 모사해 인공 전자 피부 개발] ‘상자 속 물건 맞추기’ 게임을 해본 적이 있는가? 인간의 손가락은 압력, 인장, 진동 등 다양한 종류의 자극을 민감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는 손가락 피부 표면에 존재하는 지문이 외부 자극의 크기를 증폭시키고, 피부 내부에 분포된 다양한 종류의 감각수용체가 이를 감지하기 때문이다. 2021-02-23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연구성과 창의IT 김철홍 교수팀, 고강도 집속초음파 치료 중 광음향 영상 이용해 실시간 종양 온도 확인 – 광음향·초음파 영상시스템 개발 – 기존 초음파시스템과 결합 가능…미국전기전자학회 표지논문 게재 고강도 집속초음파(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이하 HIFU) 치료란, 체외에서 병변 부위까지 높은 강도의 초음파를 전달하여 병든 조직과 종양을 제거하는 비침습 치료법으로, 병변 주위 조직에 영 2019-12-02423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세로 본능’, 차세대 광소자 효율·광스핀홀 효과 동시에 잡는다 [수직 적층형 하이퍼볼릭 메타물질 이용해 광스핀홀 효과 최초 구현…미국화학회(ACS) 저널 표지논문 게재] 볼링을 칠 때, 볼에 스핀을 넣어 투구하면 커다란 활모양의 궤적을 만드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커브볼은 핀을 쓰러뜨리는 파괴력이 가장 좋으나 투구는 어렵다. 이런 현상은 빛에서도 일어나는데, 최근 국내 연구팀이 메타물질을 활용하여 ‘광스 2019-12-02432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교수, 세계 리더와 英왕립화학회 전공입문서 발간 ‘쿠커비투릴과 관련된 거대고리 분자들’ 쿠커비투릴 분야 세계적인 리더·떠오르는 신진 연구자 참여 화학과 김기문 교수(IBS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장)가 영국 왕립 화학회(Royal Society of Chemistry)의 요청으로 전공입문서 ‘쿠커비투릴과 관련된 거대고리 분자들(Cucurbiturils and Related Macrocycles)’을 편찬했 2019-11-21367 연구성과 기계·융합생명 김기현 교수팀, ‘술잔세포영상법’으로 안구건조증 제대로 진단하다 [세계 최초 결막술잔세포 고화질 생체영상기술 개발] 술잔세포는 점액을 만드는 세포로 눈물이 고르게 퍼지도록 해주어 눈 표면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술잔세포는 안구건조증을 포함한 자가면역질환이나 화학 손상 등과 관련이 있어 술잔세포의 상태를 관찰하는 것이 눈의 질병 상태를 이해하고, 진단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계공학과·융합생명공학부 2019-11-14584 연구성과 화학 류순민 교수팀, 그래핀 ‘물’과 ‘산소’ 때문에 성질 변한다 [계면 확산에 의한 이차원 물질의 산화-환원 원리 규명] 음식물을 오래 내버려 두면 부패하고, 과일을 깎아서 공기 중에 두면 갈색으로 변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일상생활에서 목격하게 되는 산화·환원 반응이다. 그래핀과 같이 차세대 신소재로 주목받는 2차원 물질의 물리적인 성질을 제어하는 기본 원리 역시 바로 이 산화·환원 반응에 의한 것임 2019-11-11793 연구성과 창의IT 백창기 교수팀 “빛 샐 틈 없는 광흡수” 모래시계형 나노선 광센서 개발 [실리콘 재료와 반도체 공정을 활용한 고감응도 수직 실리콘 나노선 제시] 근적외선은 빛의 스펙트럼에서 적색 바깥쪽, 그중에서도 파장이 가장 짧은 광원이다. 근적외선은 열작용 외에도 광전작용, 형광작용을 나타내므로 광통신이나 레이저 치료기기와 같은 의료기기, 자율주행용 라이다(LiDAR)*1, 보안·감시 기기 등 민간 및 국방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2019-11-05501 연구성과 POSTECH ‘연어의 꿈’ 무선수중카메라로 관찰한다! – POSTECH 경북씨그랜트센터, 무선수중카메라 시스템 개발 – 360° 관찰 가능한 수중카메라 이용, 장거리 영상정보 실시간 획득 POSTECH 경북씨그랜트센터와 경북도 민물고기연구센터가 지난 10월 23일부터 울진군 근남면 소재 왕피천에서 회귀 연어의 생태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회귀 연어 생태분석은 해양수산기술지역특성화사업의 일환 2019-10-30408 연구성과 기계·융합생명 김기현 교수 공동연구팀, 뇌종양 경계를 실시간으로 찾아낸다 [세포영상기술 활용한 고속 고민감도 뇌종양 탐지] 뇌종양과 다른 종양을 구별하는 가장 큰 특징은 종양이 두개골 안에서 성장한다는 것이다. 두개골 안에서는 여유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뇌종양이 자라면 뇌압이 상승하여 두통이나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특정 부위가 눌리면서 뇌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래서 뇌종양 수술에서는 두개골을 열고 종양 2019-10-24496 연구성과 융합생명 이승우 교수팀, 장내 미생물 신호 전달 메커니즘 규명 [장내 미생물 신호 전달하는 ‘신호등 세포’ 밝혀져] 흔히 미생물은 건강을 위협하고 음식을 썩게 하는, 생활 속 불편을 주는 해롭고 더러운 생물로 여겨진다. 하지만 미생물은 소화작용을 통해 영양분을 만들어 모든 생물이 삶을 이어가게 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우리 몸에는 2,000여종, 개수로는 수백조의 미생물이 살고 있다 2019-10-22783 연구성과 [POSTECH의 연구성과] 생명 조윤제 교수팀, 단백질 구조 밝혀 암 퇴치한다 국내외 과학자들은 암을 조기에 진단하거나, 암세포만을 공격해 치료하거나, 또는 암을 미리 예방하는 연구를 수십 년 동안 해왔다. 아직까지 암을 완벽하게 퇴치하지는 못했지만 원인이나 치료법에 대한 비밀을 하나씩 밝혀내고 있다. 세포분열 제어하는 단백질 밝혀내 암의 원인 중 하나는 세포분열 시 제어하는 시스템이 망가지는 것이다. 만약 DNA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2019-10-18728 First PagePrevious11121314151617181920NextLast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