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 심지훈 교수팀, ‘훈트금속의 양자결맞음 과정’ 직접 관찰 [POSTECH-IBS 연구팀, 강상관계 물질의 금속-절연체 전이 과정에서 훈트 상호작용으로 인한 양자결맞음 과정 직접 관찰] 강상관계 물질이란 전자 간의 강한 상호작용으로, 일반적인 도체나 부도체에서 보이지 않는 특이한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들을 말한다. 금속-부도체 전이 현상이나 높은 온도에서 저항이 0이 되는 고온초전도 현상이 그 대표적인 예다. 그간 2021-03-02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하이브리드 나노입자 조절하는 ‘보이지 않는 손’ 찾았다 [금속@실리카 코어-쉘입자 합성법 발견]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조절하는 촉매나 암과 같은 난치병을 쉽게 치료하는 신약까지, 금속과 다른 나노입자를 합성해 만드는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는 새로운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다양한 구성을 갖는 금속@실리카 코어-쉘 나노입자는 그 활용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안정적이고 성질을 조절할 2019-06-03602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묵직한 VR기기, 메타물질로 ‘다이어트’ 시킨다 [빛의 스핀 이용해 여러 홀로그램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술 개발] 프로야구를 야구장에서 보는 것처럼 실감나게 관람할 수도 있고, 실제 현실처럼 게임을 즐길 수도 있는 ‘VR(가상현실, Virtual Reality)’은 놀랍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머리에 묵직한 VR기기(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써야 즐길 수 있는 기술이다. 보통 3시간가량 진행되는 야구를 2019-05-28570 연구성과 POSTECH 4세대 방사광 가속기 POSTECH은 2016년, 첨단 기술의 집약체인 4세대 방사광 가속기를 세계 3번째로 설치, 운영 중이다. 전자가 자기장 속을 지날 때 휘어지면서 접선방향으로 나오는 빛을 이용하는 장치인 방사광가속기는 전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했을 때 생기는 밝은 빛(X선)으로 미세한 물질이나 현상을 관찰하는 장치다. 쉽게 말해 ‘건물만큼 거대한 슈퍼현미경’이다. 단백질 2019-05-244,084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끊어진 신경, 홍합단백질 튜브로 안전하게 잇는다 [생체모방기술 이용해 홍합접착단백질로 나노섬유 신경도관 개발] 신경 세포는 피부나 근육과 달리 한 번 손상되면 재생능력이 떨어져 회복이 어렵다. 특히 손가락이나 사지가 질병이나 사고로 크게 손상됐을 경우, 접합 수술을 하고 나서도 신경이 온전히 회복되지 않아 떨림이나 통증이 후유증으로 남는 경우가 많았다. 국내 연구팀이 홍합접착단백질과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 2019-05-22697 연구성과 신소재 최경만-장현명 교수 공동연구팀, 배터리 에너지 변환·저장 장치 효율 높일 기술 개발 [모델 연구 통해 높은 성능의 촉매 구조 디자인 제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시대, 일상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이 바로 배터리다. 휴대전화부터 자동차, 태블릿PC, 스피커, 노트북 컴퓨터, 심지어 태양광 에너지와 같은 재생 에너지도 배터리로 저장된다. 그렇기 때문에 배터리의 성능을 높이고 안전성을 확보하며, 더 오래 사용할 수 있게 하는 2019-05-21456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창의IT 장진아 교수 공동연구팀, 사람 각막과 유사한 인공각막 3D프린터로 만든다 [인간 각막 구조 모사해 격자 패턴으로 투명한 각막 제작] 지금까지 각막이 심각하게 손상되면 사람의 각막을 이식받아야 했다. 하지만 각막기증을 기다리고 있는 사람은 국내에서만 2018년 기준으로 2000여명이고, 평균 6년 이상을 기다려야 각막을 기증받을 수 있었다. 그래서 인공 각막 개발을 위해 많은 과학자들이 노력하고 있는데 기존의 인공 각막은 돼지의 2019-05-14974 연구성과 화학 장영태 교수팀, 형광분자로 파상풍‧폐렴‧식중독균 검출, ‘더 빠르게’ [그람양성균 검출 위한 형광 분자 개발] 2년 전 한 대학병원에서 발생한 신생아 집단사망사건에서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 것이 바로 ‘그람음성균’이다. 이 그람음성균은 1884년부터 이용된 세균 염색법 ‘그람염색법’으로 염색했을 때 붉은색으로 감염되는 것으로, 보라색으로 감염되는 병원균은 ‘그람양성균’으로 불린다. 주로 파상풍균이나 폐렴균, 식중독균이 그람 2019-05-13480 연구성과 생명 신근유 교수팀, 암 성장 막는 ‘헷지혹’으로 방광암 잡는다 [후성유전학적 헷지혹 조절을 통한 암성장 저해 치료법 개발] 방광암은 방광의 점막에 생기는 암이다. 초기부터 빨간색 피가 소변으로 섞여나오는 경우가 많아서 조기 발견이 가능하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서 발견되는 근침윤성 종양은 자라는 속도가 매우 빠르고 전이가 유도되어 치료가 힘들어진다. 국내 연구팀이 그동안 치료가 어려웠던 근침윤성 방광암과 깊은 연관이 있 2019-05-09719 연구성과 화공 노용영 교수팀,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페로브스카이트 트랜지스터 개발 [페로브스카이트 와 반도체 고분자가 랩핑된 CNT 복합 필름 개발] 최근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여기에 적용될수 있은 유연한 트랜지스터소재에 대한 개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를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신할 소재로 많이 사용해 왔지만, 태양전지를 넘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도 활용될 전망이다. 2019-05-07632 연구성과 신소재 장현명 교수팀, 연료전지 효율, 내구성 높이는 핵심 ‘엑솔루션’ 촉진 기술 개발 [박막 격자 변형 이용해 단결정 박막 나노입자 엑솔루션 성공] 연료전지는 수소와 공기 등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 미래 에너지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연료전지의 주요 문제점인 내구성 및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에 적용되는 전극 물질의 열적 안전성 및 촉매 특성을 향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신소재공학과 장현명 명예교수·한현 박사 팀은 박막의 2019-05-02588 First PagePrevious11121314151617181920NextLast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