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POSTECH-에이비엘바이오, 4-1BB 이중항체가 종양 성장 막는다 [4-1BB 이중항체 연구결과, SCI급 학술지 ‘Science Advances’ 등재] 생명과학과 이승우 교수, 박사과정 유기훈씨, 에이비엘바이오 공동연구팀은 이중항체 플랫폼 ‘Grabody-T’를 도입한 4-1BB 이중항체는 종양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 내에서만 T세포를 특이적으로 활성화해 종양성장을 억제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2021-01-20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 공동연구팀, “몸값 비싼” 금속 촉매, ‘결함’ 있는 지지체로 효율 높인다 [POSTECH-KAIST 공동연구팀, 단일원자촉매 설계 높일 기술 제안] 금, 백금은 아름다운 광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산출량이 적어 ‘비싼 몸값’을 자랑하는 귀금속이다. 한편으로, 이런 귀금속은 대기 중에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다양한 화학 촉매로도 활용되고 있다. 차량 배기관에 백금촉매를 설치하면, 일산화탄소나 탄화수소 등 배기가스를 이산화탄 2019-01-28676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홍합 접착으로 줄기세포 붙들어 정착 돕는다…심근경색 · 손상 장기 치료 기대 [상 분리 액상 접착물질을 이용한 줄기세포 전달체 개발] 줄기세포는 아직 특정 세포로 분화되지 않아서 어떤 세포나 조직으로도 만들어질 수 있는 만능 세포다. 이 줄기세포를 활용하면 손상된 장기를 근본적으로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미래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줄기세포는 사람의 몸속이라는 특수한 수중 환경 때문에 표적 장기로 전달되고 유지되는 것이 모 2019-01-25604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UNIST 공동연구팀, 반응 속도와 자극을 ‘빛으로 원격제어’하는 플라스몬-촉매-나노반응기 개발 [근적외선으로 제어 가능한 인공반응기 설계·합성 독성 최소화·약물 효과 극대화 가능한 치료 플랫폼 활용가능] 우리 몸속에서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수많은 생화학 반응이 일어나고 있다. 약물 개발이나 화학적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인공 반응기를 통해 인공적으로 촉매반응을 일으켜야 한다. 이때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 촉매 반응 속도와 자극을 원하는 대로 원격 2019-01-17624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 교수팀, 암 꼼짝마! 암 찾아 레이저·면역 세포 활성화로 동시에 2번 공격하는 나노머신 개발 [광감각제와 면역 증강제로 암 동시 치료 전략 제안] 지난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는 항암치료 패러다임을 바꿨다는 평가를 받는 면역 항암제 개발 초석을 다진 2명의 과학자가 받았다. 암을 정복하기 위해 지금도 전 세계 많은 과학자가 항암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화학과 김원종 교수와 통합과정 임수석 씨는 먼저 광역학 효과로 1차로 암을 공격하 2019-01-11730 연구성과 철강 서석환 교수팀, 스마트공작기계 ISO 국제표준안 채택 [제조혁신 핵심설비 표준안 ISO 승인받아 국제표준화 리드] POSTECH은 최근 철강대학원 서석환 교수(스마트팩토리 연구센터 센터장)의 사이버 물리 제어 기반의 스마트 공작기계(CPSMT: Cyber-Physically Controlled Smart Machine Tool Systems) 국제표준안(ISO/NP 23704-1, 2)이 ISO 물리장치제어 2019-01-03647 연구성과 화공 이건홍, 이보람 교수팀, ‘불타는 얼음’ 속 불안정한 수소 저장 新기술 나왔다 가스하이드레이트에 수소저장 원천기술 개발 미세먼지로 인해 환경에 대한 관심이 급증한 요즈음, ‘친환경차’인 수소차에 대한 수요도 부쩍 늘어나고 있다. 수소차가 보급되면서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기술이 주목을 모으고 있다. 여기에서 활용되는 수소는 석유와 달리 지구 어디에서나 얻을 수 있는 에너지일 뿐 아니라, 연소할 때 미세먼지 등 공해물질을 2018-12-28669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홍합 접착의 상분리 현상 비밀 밝혀…반응성 수중 생체접착제 개발 박차 기대 표면접착단백질의 상분리를 통한 초기 수중 접착 메커니즘 제시 보통의 화학 접착제는 물기가 없는 물건을 붙이는 데 최적화되어 있다. 접착제엔 물기를 조심하는 주의사항이 꼭 들어있을 만큼 물과 접착제는 상극관계다. 하지만 수중 접착이 필요한 경우가 많고, 생체적합성이 높은 소재를 이용하면 수술 부위나 장기에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과학 2018-12-28629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투명망토 물질, 미래도시의 어둠 밝힐 “디스플레이”로 메타물질 이용한 3D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가능성제시 지난 해 실사화로 공개되며 화제를 모았던 영화<공각기동대>나 <블레이드 러너> 등 사이버펑크 영화는 물론, <아이언맨>이나 <어벤져스> 등에 등장하는 미래도시에는 항상 3D로 구현된 화려한 디스플레이들이 눈길을 끈다. 실체가 만져질 것처럼 보이는 이 디스플레이는 2018-12-24581 연구성과 융합생명 임신혁 교수팀, 자신을 공격하는 면역질환 ‘루푸스’ 발병 원인 찾았다 [Ets1 유전자 변이로 인한 Thf2 세포 증가가 루푸스 질환 유도함을 동물과 인체서 확인, 기초 면역학자와 임상 의학자 간 공동 연구로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어] 난치성 자가 면역질환인 루푸스(lupus)*1의 치료제 개발에 청신호가 켜졌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김두철) 면역 미생물 공생 연구단/POSTECH 연구진과 아주대학교병원 류마티스내과 2018-12-191,020 연구성과 환경 민승기 교수팀, 빨라지는 여름 시작, 원인은 ‘인간’…더 뜨거운 봄철 폭염 앞으로 더 자주 찾아온다 [인간 활동이 봄철 이상고온에 영향 과학적 근거 제시, 온실가스 증가로 때 이른 더위 발생 가능성 2~3배 높아졌음 확인] 2017년 5월, 계절은 늦은 봄이었지만 대한민국은 한여름처럼 달아올랐다. 평균기온은 18.7℃로 1973년 이후 가장 높았고, 5월 29일에는 밀양이 무려 36.6℃에 오르며 5월 기온으론 역대 최고치(1962.5.31. 대구 36. 2018-12-18465 First PagePrevious11121314151617181920NextLast Page